본문 바로가기
생활/재테크

S&P 500의 10년 수익률 - 과거 데이터로 보는 미래

by Angela- 2025. 4. 20.

 

지금 S&P 500에 투자해도 될까요?
이 질문은 투자자라면 누구나 한 번쯤 해봤을 겁니다.

이럴 땐 과거 데이터를 보는 게 꽤 유용합니다.
S&P 500은 어떤 흐름을 보여왔고, 앞으로도 비슷한 흐름이 이어질 수 있을까요?

 

■ S&P 500이란?

S&P 500은 미국의 대표적인 500개 대형 기업으로 구성된 주가지수입니다.
애플, 마이크로소프트, 아마존, 구글(알파벳), 테슬라 같은 글로벌 빅테크 기업들이 포함되어 있습니다.

 

■ 최근 10년간 S&P 500 수익률

● 2013년 ~ 2023년 누적 수익률
 - 연평균 수익률 (CAGR): 약 10.7%
 - 총 누적 수익률: 약 175% 이상
   (배당 재투자 포함 시 230% 이상)

그래프를 보시면, 2013년부터 2023년까지 S&P 500의 누적 수익률 추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018년·2022년처럼 하락한 해가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우상향입니다.

 

※ 10년간 하락한 해는 2번뿐 (2018, 2022)

 

■ 이렇게 강한 수익률이 가능한 이유는?

1. 미국 경제의 성장성 - 기술주 중심의 구조로 높은 생산성
2. 글로벌 패권국의 지위 - 불안정한 시기에도 달러 강세로 투자자 몰림
3. 기업의 자본효율성 - 주주환원, 자사주 매입 → 주가 상승

 

■ 앞으로도 이렇게 오를 수 있을까?

과거 수익률이 미래를 보장하지는 않지만, 몇 가지 단서를 볼 수 있습니다.
● 20년 이상 장기 투자 시, 손실 확률은 0에 가까움
● 미국 기업들의 이익 성장 추세는 지속 중
● AI, 반도체, 클린에너지 등 신성장 산업이 지수에 포함됨

※ 단기 변동성은 존재하지만, 장기적으로는 꾸준한 상승 추세 유지 예상

 

■ 그럼 지금 투자해도 될까?

● 장기 투자자라면: 지금이든 내년이든 중요하지 않습니다. 분할 매수와 꾸준한 투자 전략이 더 중요합니다.
● 단기 수익 노리는 경우: 금리 정책, 기업 실적 발표 시기 등에 따라 변동성이 크므로 리스크 관리가 필요합니다.

 

 

■ 결론 : 과거는 미래의 거울일까?

과거 10년간 S&P 500은 뛰어난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.
그 배경에는 미국 경제의 회복력, 혁신 기업의 성장, 그리고 글로벌 투자자들의 신뢰가 있었습니다.

앞으로도 이 흐름이 이어질지는 확신할 수 없지만, 

장기적인 관점에서 보면 S&P 500은 여전히 유효한 투자처임은 분명합니다.

지금부터라도, 매달 조금씩 S&P 500 ETF를 담아보는 건 어떨까요?
선택은 당신의 몫입니다.

 

 

아래 글도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.

 

한국에서 S&P 500에 투자하는 3가지 방법 (키움, 미래에셋, KB)

소개“S&P 500에 투자하고 싶은데 미국 주식을 직접 사긴 어렵고,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.” 미국 대표 지수인 S&P 500은 안정적인 장기 투자 수단으로 인기가 많습니다. 그런데 한국에서도 손

respring.tistory.com